1960-70년대 서울 도시개발사와 피지배층 생활사
[강좌개요]
1960-70년대 한국문학을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그리고 문학은 그러한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재현했는지 탐구한다.
[학습목표]
- 문학으로 도시공간을 읽는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한다.
- 위로부터의 도시계획과 아래로부터 표출된 대중들의 욕망이 만나서 도시공간의 변형과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한다.
- 서울의 변화 속에서 일반 서민, 도시빈민 등을 비롯한 피지배층의 삶이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 이해한다.
- 1960-70년대에 시작된 서울의 변화가 현재까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파악한다.
[강좌 구성]
- 1주차
주제: 1960년대 초중반 서울의 팽창과 서울사람되기의 욕망
학습목표: 서울의 도시공간이 팽창하고 인구가 증가하던 시기에, 서울로 몰려든 사람들의 내면적 욕망이 무엇이었는지 이해한다. - 2주차
주제: 1960년대 초중반 서울의 거주지역과 거주지
학습목표: 서울의 거주지, 부촌, 판자촌의 실상을 통해 1960년대 초중반 주택문제와 상경민들의 공간체험을 이해한다. - 3주차
주제: 1966년 이후 서울의 도시개발
학습목표: 1966년 이후 경제성장, 불도저 시장의 등장과 함께 도심에서 일어난 변화와 자동차 중심 도시로의 변환 과정을 이해한다 - 4주차
주제: 1966년~1972년 서울 도심의 재편
학습목표: 1966년부터 1972년까지 강북도심에서 일어난 변화를 고층화와 이국화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것이 강북 도심의 활성화와 변두리의 팽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한다 - 5주차
주제: 1966년~ 1972년 피지배층의 삶과 주거
학습목표: 1960년대 후반부터 도시의 서민, 빈민, 철거민 등 피지배층의 주거에 일어난 변화를 통해 개발의 파국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 6주차
주제: 1972년 이후 강남 개발과 부동산 신화
학습목표: 1972년부터 본격화된 강남 개발의 진행과정을 살펴보고, 강남이 경제적, 문화적 상징성을 가지게 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 7주차
주제: 1972년~1978년 중산층의 성장과 아파트 문화
학습목표: 1970년대 강남의 도시문화가 신흥 중산층의 성장과 아파트 단지의 새로운 생활양식을 통해 확산되었음을 이해한다 - 8주차
주제: 1972년~1978년 서울 도시공간의 위계화와 도시하층민
학습목표: 1970년대 한국사회의 경제성장 속에서 서울의 도시공간이 위계화되는 가운데, 도시빈민들이 추방되고 배제되는 과정과 그들의 삶을 이해한다
1주차: 1960년대 초중반 서울의 팽창과 서울사람되기의 욕망
2주차: 1960년대 초중반 서울의 거주지역과 거주지
3주차: 1966년 이후 서울의 도시개발
4주차: 1966년~ 1972년 서울 도심의 재편
5주차: 1966년~ 1972년 피지배층의 삶과 주거
6주차: 1972년 이후 강남 개발과 부동산 신화
7주차: 1972년~ 1978년 중산층의 성장과 아파트 문화
8주차: 1972년~ 1978년 서울 도시공간의 위계화와 도시하층민
송은영
한국 현대문학·도시사·문화사 전공.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서울이 현대 도시화되는 과정과 문학적 재현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현대 서울의 사회사, 문화사, 일상사를 재구성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앞으로 서울과 동아시아 대도시의 현대화를 비교할 계획이다. 지은 책으로 《서울 탄생기》, 《쉽게 읽는 서울사 2》(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사이키델릭 문학, 그리고 변방 히피들의 뒤틀린 성〉, 〈글쓰는 청년 전태일〉, 〈중산층 되기, 부동산 투기, 사회적 공간의 위계 만들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