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한국사 입문: 왕과 왕비의 삶
<강좌 목표>
학습자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삶을 살펴봄으로써 왕권 국가인 조선의 제도와 질서에 관하여 기초적 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나아가 유교적 왕정국가에서 왕과 왕권의 보편성을 이해하고, 동시에 조선에서 왕과 왕비의 상징성과 그 의미를 특수하고 역사적인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다.
<강좌 소개>
전근대부터 현대까지 동서양의 왕과 왕비의 삶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가와 왕의 관계를 역사적 차원에서 이해한다. 민주정, 공화정 등 다른 정치체제와 다른 왕정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고 특히 왕과 왕비에 관한 조선의 여러 제도와 질서, 삶을 파악할 수 있다.
<강좌 구성>
본 강의는 총 10주차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의 강의는 주제별로 3~5개(차시)의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차별로 학습자가 해당 주차의 학습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는 퀴즈 혹은 강의 내용을 보충하는 읽기자료 등 비영상 학습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학습자는 매주 강의 영상을 시청하고 학습활동을 마쳐야 한주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된다.
<제공 자막>
한국어, 영어, 중국어/ Korean, English, Chinese/ 韓國語, 英語, 中國語
1주차: 왕이란 무엇인가?
2주차: 성군과 폭군: 정치체에서 요구하는 왕의 자질
3주차: 조선의 건국, 정치이념으로서 유교, 그리고 왕
4주차: 조선 왕의 즉위식과 그 의미
5주차: 조선 왕의 하루 일과
6주차: 조선 왕비의 삶 - 왕비의 역할과 의무
7주차: 성리학적 군주의 정치1 - 인정과 조세수취
8주차: 성리학적 군주의 정치2 - 성리학적 군주와 왕권의 의미
9주차: 왕비의 정치
10주차: 에필로그 - 왕과 왕비의 정치
소진형 교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졸업(동양정치사상 전공)
저서
《서양을 번역하다》, 《한국의 정치와 정치이념》(이상 공저) 논문 〈〈황사영백서〉의 유통, 인용, 참조의 방식과 역사적 기억의 재구성〉,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의 동아시아적 번역과 번역의 연쇄: 19세기 말 20세기초 일본과 중국의 《법의 정신》 번역서의 정치개념을 중심으로〉, 〈열녀: 조선 후기 성리학의 대중화와 여성의 욕망〉, 〈17세기 황극(皇極) 해석과 왕권론 비교연구〉, 〈세종시대 공법 논쟁에서 나타난 조세개혁과 인정(仁政)의 관계, 그리고 그 범주 및 의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