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있으신가요?
Message sent Close

소비와 생산 현장으로 보는 한국사

각 시기별 생산의 시대적 조건, 생산현장에서 나온 노동자들의 목소리, 생산현장의 실태, 노동자들의 소비·생활문화를 이해합니다.
강사
igkslms
  • 강좌 소개
  • 강좌 수강
  • 강사 소개
장미현_김세림_인트로_01.png

강좌 개요

이 강좌는 해방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 속 노동자들의 노동 실태와 노동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노동자, 기업, 정부 등 주요 주체들이 노동을 어떻게 인식했고 어떤 법과 제도를 만들어왔는지를 살펴봅니다. 강의의 전반부에서는 크게 4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생산의 시대적 조건, 생산현장에서 나온 노동자들의 목소리, 생산현장의 실태, 노동자들의 소비/생활문화를 이해합니다. 생산과 소비의 기본 요소는 의·식·주로 구별됩니다. 강의 후반부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자원의 생산과 소비, 의복의 생산과 소비, 마지막으로 주식을 중심으로 생산과 소비의 현장을 살펴봅니다.

학습목표

1.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각 시기별 생산과 소비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한다.

2. 생산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노동자를 둘러싼 법, 제도의 도입 과정을 살펴본다.

3. 생산과정인 노동과 생활인 소비가 보여주는 시대적 특징과 에너지, 원단, 곡물을 통해 구체적 양상을 파악한다.

4. 과거의 역사를 통해 현재의 노동문제를 이해하는 안목을 키운다.

강좌구성

본 강의는 8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차당 3~4차시의 강의가 진행된다.

장미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김세림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Share
강좌 정보
강의 29
레벨 입문자

이용 안내

  • 동영상 강의는 별도의 회원 가입 없이도 사이트 내 전 강좌를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사이트 상단의 강좌 목록 페이지에서 수강을 원하시는 강의 페이지로 들어가시면 강좌 수강 탭에 커리큘럼에 따른 강의들이 나옵니다. 원하시는 강의를 클릭하시면 해당 강의 동영상이 재생됩니다.
  •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을 하시면 회원 페이지를 통해 수강 중인 강좌의 저장 및 이어 듣기 기능이 지원됩니다.
  • 기관에서 강좌 이용을 신청하실 경우, [기관 이용 안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