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와 생산 현장으로 보는 한국사
각 시기별 생산의 시대적 조건, 생산현장에서 나온 노동자들의 목소리, 생산현장의 실태, 노동자들의 소비·생활문화를 이해합니다.
강사
igkslms
- 강좌 소개
- 강좌 수강
- 강사 소개

강좌 개요
이 강좌는 해방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 속 노동자들의 노동 실태와 노동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노동자, 기업, 정부 등 주요 주체들이 노동을 어떻게 인식했고 어떤 법과 제도를 만들어왔는지를 살펴봅니다. 강의의 전반부에서는 크게 4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생산의 시대적 조건, 생산현장에서 나온 노동자들의 목소리, 생산현장의 실태, 노동자들의 소비/생활문화를 이해합니다. 생산과 소비의 기본 요소는 의·식·주로 구별됩니다. 강의 후반부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자원의 생산과 소비, 의복의 생산과 소비, 마지막으로 주식을 중심으로 생산과 소비의 현장을 살펴봅니다.
학습목표
1.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각 시기별 생산과 소비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한다.
2. 생산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노동자를 둘러싼 법, 제도의 도입 과정을 살펴본다.
3. 생산과정인 노동과 생활인 소비가 보여주는 시대적 특징과 에너지, 원단, 곡물을 통해 구체적 양상을 파악한다.
4. 과거의 역사를 통해 현재의 노동문제를 이해하는 안목을 키운다.
강좌구성
본 강의는 8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차당 3~4차시의 강의가 진행된다.
1주차: 해방 전후 생산과 소비의 시대적 조건
2주차: 분단과 전쟁, 복구 현장 속 생산과 소비
3주차: 경제개발 속 산업현장과 노동자
4주차: 뜨거운 생산현장 - 1980년대 생산현장과 노동자들
5주차: 생산의 현장 1 - 두 발에 자유를, 석유
6주차: 생산의 현장 2 - 서민의 방을 따뜻하게, 석탄
7주차: 생산의 현장 3 - 베틀에서 공장까지, 원단
8주차: 생산의 현장 4 - 영양보충에서 기업형농가로, 소와 우유
장미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김세림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