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ge of the Empire, From the Scenes
본 강좌에서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한반도 안팎에서 전개된 정치사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당시 이러한 정치적 현장에서 한국인들의 경험을 문화사적 차원에서 검토하는 시도도 병행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시도는 이 강좌가 정치에 대한 탐구이면서 동시에 정치를 매개로 한 인문적 탐구임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강좌에서는 위의 시간 대에서 정치사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열 개의 현장을 선별하여 이에 접근해보고자 한다. 해당 현장에서는 고종의 즉위부터 일본에 의한 한국의 병합까지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이 전개되었는데, 이러한 사건들이 당대의 한국인들에게 어떻게 경험되었는지, 그리고 이와 같은 경험이 이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또한 이들의 세계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중층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의도에서 준비된 만큼 본 강좌에서는 일차적으로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에 초점을 맞추지만, 정치적 영역에서 두드러지는 존재감을 가졌던 이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주체들도 조명을 받게 될 것이다.
<제공 자막>
한국어, 영어, 중국어/ Korean, English, Chinese/ 韓國語, 英語, 中國語
1주차: 1864년 1월 16일 창덕궁 :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강화도 : 강화도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 1884년 12월 4일의 우정총국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 양절체제
5주차: 1894년 2월 17일, 전라도 고부관아 : 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
6주차: 1896년 2월 11일 광화문 앞, 1897년 10월 12일 환구단 : 갑오개혁과 광무개혁
7주차: 1898년 10월 29일의 서울 종로 :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8주차: 1905년 11월 17일 경운궁 :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의 보호국화
9주차: 1907년 2월 21일 대구 서문 밖 : 국채보상운동
10주차: 1910년 8월 29일 서울 : 대한제국의 마지막 순간
Kiha Kwon
연세대학교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
- 권기하, 「국채보상운동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의 심화와 유교적 에토스의 영향」, 역사와 현실 122, 2021
- 권기하, 「독립협회의 정치운동 모색 과정에서 의리 관념의 역할」, 역사문제연구 23-2,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