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민주주의 논쟁의 정치학
한국 현대의 주요 정치사회적 사건과 당시에 부대된 논쟁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지역적 특색과 역동성을 살펴본다.
강사
igkslms
- 강좌 소개
- 강좌 수강
- 강사 소개

강좌개요
한국 현대의 주요 정치사회적 사건과 당시에 부대된 논쟁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지역적 특색과 역동성을 살펴본다.
학습목표
1. 한국 현대의 각 시대별 정치사회적 사건과 변동을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학습한다.
2. 각 사건별 민주주의 관련 논쟁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다양한 층위를 심도있게 이해한다.
1주차 : 한국 민주주의의 토대와 서구 사상의 수용
2주차 : 해방 직후 민주주의 논쟁
3주차 : 분단과 자유민주주의의 제도화
4주차 : 1950년대 냉전 반공주의의 시민종교화
5주차 : 4월혁명과 민주주의 논쟁
6주차 :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근대화 담론과 자유민주주의론
7주차 : 1970년대 유신체제와 반독재민주주의
8주차 : 1980년대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의 제도화
김봉국
전남대학교 호남학과 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