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 인식
이 강좌는 한국 근현대사 가운데 내재적 발전론이 등장한 맥락을 탐문하고, 한국의 각 분과사에 등장한 내재적 발전론과 더불어 북한과 일본에서 시도된 ...
Show more
강사
igkslms
- 강좌 소개
- 강좌 수강
- 강사 소개

강좌개요
이 강좌는 한국 근현대사 가운데 내재적 발전론이 등장한 맥락을 탐문하고, 한국의 각 분과사에 등장한 내재적 발전론과 더불어 북한과 일본에서 시도된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구체적인 역사 연구의 궤적을 탐색한다.
학습목표
1. 한국 근현대사에서 내재적 발전론이 대두된 역사적 맥락을 이해한다.
2. 한국의 각 분과사와 북한·일본 등지에서 시도된 내재적 발전론에 따른 역사 연구의 구체상을 학습한다.
1주차 : 1960년대 한국 역사학계의 식민주의 한국사관 비판
2주차 : 1960~70년대 북한 역사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형성과 특징
3주차 : 1960~70년대 일본 역사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형성과 특징
4주차 : 1960~70년대 한국 역사학계의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5주차 : 1960~70년대 한국 역사학계의 상공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6주차 : 1960~70년대 한국 역사학계의 사회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7주차 : 1960~70년대 한국 역사학계의 정치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8주차 : 1960~70년대 한국 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홍정완
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