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속의 갈등과 경쟁 - 전근대 민란의 정치·사회사
전근대 민란과 관련된 한국사 속의 갈등과 경쟁 구도를 살펴보고, 거기에 깔린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살펴본다.
강사
igkslms
- 강좌 소개
- 강좌 수강
- 강사 소개

강좌개요
전근대 민란과 관련된 한국사 속의 갈등과 경쟁 구도를 살펴보고, 거기에 깔린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살펴본다.
학습목표
전근대 지배체제 및 수취체계와 맞물린 민중의식의 성장과, 조선 후기 민란 및 농민전쟁의 전개 양상을 이해하고, 민중운동의 특성을 근대의 지향점과 연결짓는 것을 통해, 한국사 속 갈등과 경쟁 구도에 대한 거시적이고 입체적인 안목을 함양한다.
1주차 : 전근대 민중운동사의 관점과 방법론
2주차 : 전근대국가의 지배체제와 민중의식의 변화
3주차 : 1812년 홍경래란의 재조명
4주차 : 1862년 농민항쟁의 전개와 의미
5주차 : 19세기 후반 조선사회의 변화와 민중운동
6주차 : 19세기 후반 민중운동의 새로운 양상
7주차 : 1894년 농민전쟁의 발발과 전개
8주차 : 19세기 말 농민전쟁의 성격과 민중운동의 지향점
왕현종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