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수강
강좌:
한국 전통시대의 의료, 그리고 생로병사
로그인
강좌 수강
한국 전통시대의 의료, 그리고 생로병사
1주차: 질병, 의료와 한국 의료사
0/4
1차시: 프롤로그
12:40
시험
2차시: 질병은 문화이다
19:29
시험
3차시: 의료화와 의료체계
17:13
시험
4차시: 의료사와 주요 연구성과
12:55
시험
2주차: 한국 고대의 의료와 동아시아 의학지식의 형성 사례
0/6
1차시: 한국 고대의 의료와 의료제도 (1)
11:45
시험
2차시: 한국 고대의 의료와 의료제도 (2)
11:39
시험
3차시: 한국 고대의 의료와 의료제도 (3)
6:02
시험
4차시: 약학지식의 형성 과정으로 살펴보는 ‘동아시아의료’ (1)
14:09
시험
5차시: 약학지식의 형성 과정으로 살펴보는 ‘동아시아의료’ (2)
7:54
시험
6차시: 약학지식의 형성 과정으로 살펴보는 ‘동아시아의료’ (3)
7:42
시험
3주차: 고려시대의 의료제도와 대외 의료 교류
0/5
1차시: 고려시대 의료제도와 의관 (1)
16:19
시험
2차시: 고려시대 의료제도와 의관 (2)
7:38
시험
3차시: 고려시대 의료제도와 의관 (3)
6:59
시험
4차시: 고려시대 대민의료정책과 지배체제
23:31
시험
5차시: 고려시대 아시아대륙과의 의료 교류
21:54
시험
4주차: 조선시대의 의료제도와 성리학
0/4
1차시: 조선시대의 의료제도
19:30
시험
2차시: ‘인육치료’에 보이는 성리학의 영향 (1)
9:32
시험
3차시: ‘인육치료’에 보이는 성리학의 영향 (2)
7:53
시험
4차시: ‘인육치료’에 보이는 성리학의 영향 (3)
23:04
시험
5주차: 전근대 유행병의 양상과 대응 방법들
0/5
1차시: 조선 중종대 유행병의 창궐 양상과 대응 방법 (1)
14:11
시험
2차시: 조선 중종대 유행병의 창궐 양상과 대응 방법 (2)
11:29
시험
3차시: 조선 중종대 유행병의 창궐 양상과 대응 방법 (3)
10:28
시험
4차시: 조선 중종대 유행병의 창궐 양상과 대응 방법 (4)
12:58
시험
5차시: 고려시대의 유행병 대응과 그 성격
19:00
시험
6주차: 조선 사람들의 생로병사
0/4
1차시: 유물로 보는 조선 왕실의 생로병사 (1)
21:56
시험
2차시: 유물로 보는 조선 왕실의 생로병사 (2)
20:38
시험
3차시: 조선시대의 사람 죽이는 법 (1)
20:30
시험
4차시: 조선시대의 사람 죽이는 법 (2)
21:30
시험
7주차: 질병에 맞선 한국 중세의 의서들
0/5
1차시: 항약과 『향약구급방』
23:47
시험
2차시: 『향약제생집성방』, 『향약집성방』 (1)
9:45
시험
3차시: 『향약제생집성방』, 『향약집성방』 (2)
18:37
시험
4차시: 『의방유취』와 동아시아의료 (1)
12:18
시험
5차시: 『의방유취』와 동아시아의료 (2)
14:24
시험
8주차: 조선의 약재 증산과 대표적인 의학자들
0/6
1차시: 감초의 토산 과정과 의료화 (1)
15:00
시험
2차시: 감초의 토산 과정과 의료화 (2)
12:31
시험
3차시: 감초의 토산 과정과 의료화 (3)
12:25
시험
4차시: 감초의 토산 과정과 의료화 (4)
11:30
시험
5차시: 허준과 이제마 – 조선 의학의 최고봉
16:57
시험
6차시: 「한국 전통시대의 의료, 그리고 생로병사」 정리
4:25
시험
동영상 강의
4차시: 『의방유취』와 동아시아의료 (1)
이전
다음
회원 로그인
비밀번호는 최소 8자이상의 숫자, 문자 조합이어야 하고 1자는 대문자가 있어야 합니다.
소속기관
전화번호
주소
활용 강좌
활용할 강좌에 대해 알려주세요. 강좌명, 사용목적, 사용기간
요청사항
요청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면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파일 삭제
이 파일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삭제
로그인정보 기억
회원 로그인
회원가입
비밀번호 복구
비밀번호 초기화 링크 보내기
비밀번호 초기화 링크 보내기
귀하의 이메일로
닫기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회원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