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수강
강좌:
민족주의적 사회주의의 실험과 북한
로그인
강좌 수강
민족주의적 사회주의의 실험과 북한
1주차: 해방과 사회 변화
0/4
1차시: 소련의 점령과 통치
26:27
시험
2차시: 인민위원회 수립과 활동
21:07
시험
3차시: 당과 정치 권력의 형성
18:42
시험
4차시: 민주개혁
19:15
시험
2주차: '민주주의 민족문화’와 분단 정부
0/4
1차시: 새로운 문화 창조를 위한 모색
23:44
시험
2차시: 인민의 의식개조 운동
7:26
시험
3차시: 분단 정부의 수립
22:31
시험
4차시: 분단 정부 수립 이후의 변화
11:44
시험
3주차: 한국전쟁과 그 영향
0/6
1차시: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1)
26:13
시험
2차시: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2)
11:13
시험
3차시: 전쟁 중 김일성의 권력 강화
15:33
시험
4차시: 휴전회담
8:02
시험
5차시: 전시 생산과 전후 복구(1)
19:21
시험
6차시: 전시 생산과 전후 복구(2)
19:03
시험
4주차: 1950년대 권력 갈등과 ‘주체’ 모색
0/4
1차시: 사회주의 이행 노선의 제기와 갈등
22:36
시험
2차시: ‘사상에서의 주체’ 제기
8:15
시험
3차시: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
12:07
시험
4차시: 반종파투쟁
22:14
시험
5주차: 사회주의로 가는 길 - 산업화와 농업협동화
0/4
1차시: 전후 새로운 노동자 확보 문제와 생산성 향상의 과제
29:07
시험
2차시: 제1차 5개년 계획의 추진과 집단적 혁신운동(천리마운동)
15:45
시험
3차시: ‘자립경제’ 건설을 위한 노력
16:19
시험
4차시: 농업협동화와 개인상공업 협동화
16:06
시험
6주차: 천리마작업반운동과 ‘공산주의’ 미래
0/4
1차시: 사회주의 이행 완료 선언과 천리마작업반운동의 제기
19:04
시험
2차시: 천리마작업반장 ‘길확실’과 ‘인간개조’
18:19
시험
3차시: 속도에 대한 강박과 자기희생의 상찬
13:23
시험
4차시: 청산리 방법과 대안의 사업체계
13:18
시험
7주차: 북중소 갈등과 ‘자주적 외교’
0/4
1차시: 북중소 관계의 형성과 균열
20:50
시험
2차시: 북소동맹과 북중동맹
11:39
시험
3차시: 외교 노선의 다변화
15:09
시험
4차시: 외교에서의 ‘자주노선’
13:24
시험
8주차: ‘주체사상’의 나라
0/4
1차시: 제1차 7개년계획과 ‘경제-국방 병진노선’
20:21
시험
2차시: 자력갱생 사회주의의 모색 사례 - ‘주체적’ 과학기술 만들기
17:33
시험
3차시: ‘주체사상’의 등장
9:27
시험
4차시: 1967년 갑산파 숙청과 ‘수령제’의 완성
13:04
시험
동영상 강의
1차시: 북중소 관계의 형성과 균열
이전
다음
회원 로그인
비밀번호는 최소 8자이상의 숫자, 문자 조합이어야 하고 1자는 대문자가 있어야 합니다.
소속기관
전화번호
주소
활용 강좌
활용할 강좌에 대해 알려주세요. 강좌명, 사용목적, 사용기간
요청사항
요청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면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파일 삭제
이 파일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삭제
로그인정보 기억
회원 로그인
회원가입
비밀번호 복구
비밀번호 초기화 링크 보내기
비밀번호 초기화 링크 보내기
귀하의 이메일로
닫기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회원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