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수강
강좌: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농업사
로그인
강좌 수강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농업사
1주차: 도입(導入): 동아시아 농업사의 중요성
0/6
1차시 : 도입
05:21
시험
2차시 : 동아시아 농업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실마리
39:58
시험
3차시 : 집약적(集約的) 농업의 발전
01:56
시험
4차시 : 집약적 농업의 실태
20:21
시험
5차시 : 집약적 농업의 담당자 : 주체의 문제
03:48
시험
6차시 : 앞으로의 강의 계획
03:37
시험
2주차: 동아시아 농업사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0/6
1차시 : 농업과 농업사에 관한 잘못된 인식의 원인
05:58
시험
2차시 : 자연조건의 문제
11:40
시험
3차시 : 기후와 농업
07:47
시험
4차시 : 공업과의 차이
12:28
시험
5차시 : 유럽 농업과의 차이
14:18
시험
6차시 : 밭농사와 논농사의 문제
30:11
시험
3주차: 중국 화북(華北)의 농업: 아시아 농업의 원류(源流)
0/6
1차시 : 중국 농업의 출발
10:53
시험
2차시 : 화북 농업의 발전 과정
15:36
시험
3차시 : 화북 농업은 왜 쇠퇴하지 않았나?
20:35
시험
4차시 : 동아시아 농서의 고전 : [제민요술(齊民要術)]
12:37
시험
5차시 : 휴한(休閑)농업과 연작(連作)농업의 문제
12:12
시험
6차시 : 당나라시대 이전의 강남 농업
05:45
시험
4주차: 중국 강남(江南) 논농사의 발전
0/8
1차시 : 델타의 개발에 대해
07:15
시험
2차시 : 강남 개발의 본격화
05:01
시험
3차시 : 송나라 시대 강남의 논농사
15:20
시험
4차시 : 명나라시대 장강 델타 개발의 진전과 집약적 논농사
07:42
시험
5차시 : 청나라시대 농업의 상업화
16:55
시험
6차시 : 소농경영의 성장
08:26
시험
7차시 : 산구경제(山區經濟)와 과잉개발(過剩開發)?
08:44
시험
8차시 : 왜 중국에서 농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07:05
시험
5주차: 한반도 농업사의 원형(原型)
0/6
1차시 : 한반도 농업사연구 현황과 문제점
07:54
시험
2차시 : 조선전기의 농서 [농사직설(農事直設)]에 대해
18:18
시험
3차시 : [농사직설]의 논농사 기술
14:26
시험
4차시 : [농사직설]의 밭농사 기술
05:45
시험
5차시 : [농사직설]의 기술 수준
12:41
시험
6차시 : [농사직설]과 농업의 현실
28:40
시험
6주차: 전환점으로서의 조선후기
0/5
1차시 : 집약적 농업으로의 방향 전환
08:41
시험
2차시 : 조선 후기의 논농사
25:15
시험
3차시 : 조선후기의 밭농사
15:31
시험
4차시 : 소농(小農)들의 성장
17:36
시험
5차시 : 집약적 농업의 도달점과 그 행방
39:56
시험
7주차: 논농사 중심의 일본열도 농업사
0/6
1차시 : 고대 일본의 농업
12:51
시험
2차시 : 율령국가의 해체와 정치 권력의 이원화=‘중세(中世)’
25:23
시험
3차시 : 14~16세기의 새로운 발견
10:51
시험
4차시 : 16~17세기 일본의 대개발 시대
17:24
시험
5차시 : 집약적 농업의 확립
18:27
시험
6차시 : 소농경영의 보편화
07:11
시험
8주차: 동아시아의 농서
0/5
1차시 : 농서에 관한 해설
06:03
시험
2차시 : 중국의 농서
21:12
시험
3차시 : 한국의 농서
19:37
시험
4차시 : 일본의 농서
08:51
시험
5차시 : 동아시아 농서의 특징
09:05
시험
9주차: 농업과 국가 및 사회
0/6
1차시 : 동아시아 소농사회론의 제기
05:33
시험
2차시 : 특권적 토지소유의 소멸
18:00
시험
3차시 : 국가에 의한 통일적 토지 지배의 확립
08:30
시험
4차시 : 과거제도(科擧制度)의 확립과 관료제(官僚制)에 의한 통치
20:26
시험
5차시 : 주자=성리학의 확립과 국가 이념으로서의 지위 획득
12:16
시험
6차시 : 신분제도의 약체화
24:16
시험
10주차: 근대 이후의 농업사
0/3
1차시 : 전통과 근대의 관계
09:50
시험
2차시 : 근대적 토지소유제도의 확립과정
45:57
시험
3차시 : 전통 농법과 근대 농학의 관계
23:56
시험
동영상 강의
3차시 : 한국의 농서
이전
다음
회원 로그인
비밀번호는 최소 8자이상의 숫자, 문자 조합이어야 하고 1자는 대문자가 있어야 합니다.
소속기관
전화번호
주소
활용 강좌
활용할 강좌에 대해 알려주세요. 강좌명, 사용목적, 사용기간
요청사항
요청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면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파일 삭제
이 파일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
삭제
로그인정보 기억
회원 로그인
회원가입
비밀번호 복구
비밀번호 초기화 링크 보내기
비밀번호 초기화 링크 보내기
귀하의 이메일로
닫기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회원 로그인
비밀번호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