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모두보기
- 1년차
- 2년차
- 3년차
민족주의적 사회주의의 실험과 북한
1940~6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학습하여, 북한 특색의 사회주의가 만들어지게 된 원인과 과정을 이해한다.
34 강의
35
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한민족
조선말기부터 시작된 민족 이산의 과정을 냉전, 글로벌 시대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을 각 시대별 특징과 연관지어 살펴본다.
33 강의
204
20세기 한국여성 노동사: 현실, 저항, 공간
이 강좌는 일제강점기부터 1990년대까지 20세기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여성 노동을 둘러싼 담론과 지형을 맥락화한다.
31 강의
148
한국의 전통건축 한옥
한국 전통건축물인 한옥을 통해 한국 건축사를 되짚어 봄으로써 한국인들의 주거형태와 문화, 공동체 문화, 종교까지 아우르면서 자연친화적인 한국인의 건축양식을 탐구한다.
32 강의
109
새로운 지역사와 지역사라는 방법
지역을 여러 차원의 역사가 전개된 중층적인 장소로 바라보고, 구체적인 지역에서 벌어진 미시적인 사건을 통해 거시적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며, 다양한 역사 주체가 참여하는 중층적인 지역사(local history)의 특징을 이해한다.
28 강의
127
1960-70년대 서울 도시개발사와 피지배층 생활사
1960-70년대 한국문학을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그리고 문학은 그러한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재현했는지 탐구한다.
34 강의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