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차
공간과 환경으로 보는 한국사
조선말기부터 시작된 민족 이산의 과정을 냉전, 글로벌 시대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을 각 시대별 특징과 연관지어 살펴본다.
3년차
이 강좌는 현대 한국사회라는 공간 속에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적 환경으로서의 생활문화가 형성된 과정을 살펴본다.
이 강좌는 일제강점기부터 1990년대까지 20세기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여성 노동을 둘러싼 담론과 지형을 맥락화한다.
3년차
한국 전통건축물인 한옥을 통해 한국 건축사를 되짚어 봄으로써 한국인들의 주거형태와 문화, 공동체 문화, 종교까지 아우르면서 자연친화적인 한국인의 건축양식을 탐구한다.
한국의 의료제도사를 중심축으로 삼으면서 사상, 의료인, 의학지식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인들의 생로병사를 탐구한다.
3년차
전근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의 도시 공간과 주거 문화를 역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현재적 관점에서 한국의 도시적 삶이 만들어진 배경에 대해 이해한다. 도시와 건축이라는 물리적이고 공간적인 틀과 생활 문화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삶’을 재구성한다.
지역을 여러 차원의 역사가 전개된 중층적인 장소로 바라보고, 구체적인 지역에서 벌어진 미시적인 사건을 통해 거시적 구조와 맥락을 파악하며, 다양한 역사 주체가 참여하는 중층적인 지역사(local history)의 특징을 이해한다.
개항 이후 현재까지 한국인의 식탁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20세기 한국 음식의 역사를 추적하고 그 의미를 알아본다.